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부자되기 공부/일일시황6

6월보다 좋지않은 9월 FOMC 점도표, Dot Plot [9월21일] 9월 FOMC 점도표, Dot Plot 어제 fomc에서는 시장의 예상대로 기준금리를 현 5.25~5.75% 범위에서 동결하기로 발표를 했습니다. 우리나라의 기준금리 3.5%와 미국금리차이는 당분간 최대 2%p로 유지하게 됐는데요. 그건 호재라기보다는 시장에서 이미 반영을 하고 있던 부분이였고 매파적인 금리동결이라는 의견입니다. 이번 FOMC에서 중요한 점은 내년, 2024년도 예상금리 그러니까 인하폭. 6월달에 있던 FOMC 점도표에서는 내년 말 금리를 4.25~4.5%로 예상한 위원이 6명으로 가장 많았지만 이번 9월에는 5.1%로 6월 전망치보다 0.5%p 높은 수준으로 내년 금리 인하폭이 예상의 절반 수준에 그칠 것으로 보고 있네요. 점도표에는 연말금리는 5.5~5.75%로 예상, .. 2023. 9. 21.
유커 수혜, 3분기 실적, 비만 등 8월28일 유커 수혜, 3분기 실적, 비만 등 시장에서 관심이 집중되었던 잭슨홀 미팅은 잘 마무리가 되었다 인플레이션 목표율(2%)도 바꾸지 않았다 결국 그로 인해 잭슨홀미팅 당일 미국지수가 플러스가 나긴 했지만 일부 되돌림이 나오는 모습 미국 2년물 국채금리를 보자고 했는데 5.09%까지 올라갔었고 현재도 5.08%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결국 그건 CME의 FedWatch에서는 11월에 금리인상 확률이 50%로 높아지면서 정책금리를 반영하는 2년물도 튀었다 그렇기 때문에 오늘의 상승을 너무 환호하면서 따라가는 건 아닌것 같다 다만 차트는 가파른 가격 조정은 멈췄다 그런데 여기서 이번에 빠졌을 때 바닥에서 여기까지 올라오는데 에너지가 엄청나게 들었다는 생각이 든다(너무 힘들게 올라왔다) 여러측면에.. 2023. 8. 28.
국내반도체를 끌어올려준 엔비디아 8월24일 국내 반도체를 끌어올려준 엔비디아, KB증권 아네뜨님의 마감시황 어제까지만 해도 모멘텀도 없고 시장의 매크로도 좋은게 없었던 상황 오늘 새벽 엔비디아가 호실적발표를 했고 우려하던 금리도 다소 내려오는 모습 그로인해서 환율도 내려온 상황 지난주부터 8월24일, 25일 엔비디아 신적발표와 잭슨홀미팅즘해서 변곡점이 생길 수도 있다고 했는데 기대보다 더 엔비디아의 메가서프라아즈가 나오면서 시장에 위험자산에 대한 센티자체를 바꿔놨다는 생각이 든다 매크로가 좋지 않다고 하더라도 기술이나 성장하는 산업 등 명확한 부분들이 나온다면 시장의 분위기를 반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주목을 해봐야 할 것 같다 올해보다는 내년에 AI관련주들은 더 성장할 것으로 보고 있기 때문에 여전히 기회가 남아있다고 보고 있다 코스피.. 2023. 8. 25.
금리안정이 필요한 시장 8월 23일 금리안정이 필요한 시장, KB증권 아네뜨님의 마감시황 코스피 10pt(-0.41%) 하락한 2505pt로 마감하면서 다시 2500pt선을 위협하는 수준까지 하락을 한 상황 개인 806억원 매수/ 외국인 230억원 매수/ 기관 885억원 매도 코스닥 10pt(-1.17%) 하락한 882pt로 마감 개인 2462억원 매수/ 외국인 1626억원 매도/ 기관 799억원 매도 어제의 시장은 전날의 상승을 다 반납하는 흐름이였다 전날도 상승종목수보다 하락종목수가 더 많았기 때문에 하락이다라는 말을 했는데 똑같은 움직임이였다 전날과 다른 흐름이라면 전날 크게 상승을 했던 에코프로나 에코프로비엠 등 시총이 큰 상위종목들이 크게 빠지면서 조정이 크게 나왔다 코스닥의 경우도 전날의 상승분을 전부 다 반납하는 .. 2023. 8. 24.
의료AI, 화장품, 전력기기 등으로 쏠리는 수급 8월 22일 의료AI, 화장품, 전력기기 등으로 쏠리는 수급...KB증권 아네뜨님의 마감시황 코스피 6.94pt(0.28%) 상승한 2515pt로 마감 개인 510억원 매수/ 외국인 412억원 매도/ 기관 58억원 매도 코스닥 4.62pt(0.52%) 상승한 893pt로 마감 개인 6억원 매도/ 기관 623억원 매수/ 기관 481억원 매도 위에 그림에서도 알 수 있듯이 전강후약의 흐름 약세장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코스닥은 상승종목수가 566종목, 하락종목수가 946종목으로 사실 하락한 시장이라고 봐도 무방할 듯 하다 코스닥의 대장주격인 에코프로가 시총1위로 등극을 했고 큰 상승을 보이면서 코스닥의 상승을 이끌었다고 볼 수있다. 하지만 코스닥 전반적으로는 크게 하락을 한 하루였다 코스피같은 경우도 상승.. 2023. 8. 23.
여전히 불안정한 금리와 환율 8월 21일 여전히 불안정한 금리와 환율, KB증권 아네뜨님의 마감시황 코스피 4.30pt(0.17%) 상승한 2508pt로 마감 개인 101억원 매도/ 외국인 337억원 매도/ 기관 251억원 매수 코스닥 11.39pt(1.30%) 상승한 888pt로 마감 개인 3757억원 매도/ 외국인 2051억원 매수/ 기관 1723억원 매수 코스피와 코스닥 모두 하락종목수보다 상승종목수가 더 많은 하루였다. 하지만 과거에도 요즘처럼 연이어서 하락을 한 적은 없었기 때문에 기술적 반등이 나올 수 있는 자리였다. 코스피가 5주연속 하락한적이 거의 없었다. 2001년 이후에 9번 정도로 그 기간에 낙폭이 10%정도, 하락이 멈추고 반등한 주에 상승한 폭은 3%정도였고 5주 연속 하락한후 5주로 마감 그 다음부터는 상승.. 2023. 8. 22.
728x90
반응형